맨위로가기

베네딕트 앤더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딕트 앤더슨은 중국 쿤밍에서 태어나 아일랜드 국적을 유지한 정치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전공하고 코넬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인도네시아 및 태국 연구를 수행했다. 1983년 민족주의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연 저서 《상상의 공동체》를 출간하여 '상상된 공동체' 개념을 제시했다. 앤더슨은 출판 자본주의, 인쇄술의 역할, 다민족 제국과 민족주의의 관계 등을 분석했으며, 그의 이론은 민족주의 연구뿐만 아니라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구겐하임 펠로십,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5년 인도네시아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학자 - 샌디 쇼
    1960년대 '스윙잉 런던'을 대표하는 영국의 가수 샌디 쇼는 맨발 퍼포먼스와 "[(There's) Always Something There to Remind Me]", "Girl Don't Come", "Puppet on a String" 등의 히트곡, 그리고 다양한 유럽 언어 녹음을 통해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 영국의 학자 - 로버트 시저 칠더스
    영국의 팔리어 학자이자 불교 연구가인 로버트 시저 칠더스는 실론 행정부 근무 중 팔리어를 연구하여 《팔리어 사전》을 편찬, 볼네이 상을 수상하고 런던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나 38세에 결핵으로 사망했다.
  • 윈난성 출신 - 녜얼
    중국 윈난성 쿤밍 출신 작곡가 녜얼은 짧은 생애 동안 항일 운동과 사회주의 사상을 반영한 가곡과 영화 음악을 작곡했으며,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인 "의용군행진곡"을 작곡하여 중국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 윈난성 출신 - 왕야오
    왕야오는 1992년 국가소년바둑팀에 입단하여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소년조에서 우승하고, LG배 세계기왕전 4강에 오르는 등 활약한 중국의 바둑 기사이다.
  • 쿤밍시 출신 - 녜얼
    중국 윈난성 쿤밍 출신 작곡가 녜얼은 짧은 생애 동안 항일 운동과 사회주의 사상을 반영한 가곡과 영화 음악을 작곡했으며,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인 "의용군행진곡"을 작곡하여 중국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 쿤밍시 출신 - 퉁야오
    퉁야오는 2002년 데뷔 후 드라마 여의전의 고희월 역과 대강대하의 쏭 렌핑 역으로 백옥란상 최우수 여우조연상을 수상하고, 겨우 서른 등의 작품에서 주연을 맡으며 에스티 로더, 조르지오 아르마니, 티파니 등 다양한 브랜드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중국 배우이다.
베네딕트 앤더슨
기본 정보
1994년의 앤더슨
본명베네딕트 리처드 오고먼 앤더슨
출생일1936년 8월 26일
출생지중화민국(1912-1949) 윈난성(운남성) 쿤밍 시(곤명시)
사망일2015년 12월 13일
사망지인도네시아 동자바 주 바투 (인도네시아)
국적아일랜드
형제자매페리 앤더슨
학문 분야
학문 분야정치학
역사학
근무 기관코넬 대학교 (명예 교수)
학력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학사)
코넬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조지 맥터넌 카힌
제자존 시델
기타

2. 생애

1936년, 중국 윈난성 쿤밍시에서 태어났다.[38] 어머니는 영국인[39]이었고, 아버지는 영국계 아일랜드인이었다.[39] 본인은 아일랜드 국적을 유지했다.[40]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전공하여 1957년에 졸업했다.[38] 1958년 1월, 코넬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했다.[39] 1962년부터 2년간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했다.[38] 1966년, 연구지 「인도네시아」를 직접 창간했다.[38] 1967년, 코넬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38], 이후 같은 대학교에서 강의를 했다.[38] 그러나 1972년 수하르토 정권에 의해 인도네시아 입국이 금지되었기 때문에,[38] 연구 분야를 태국으로 옮겨 태국의 언어, 문화, 정치 연구를 시작했다.[38] 1976년, 코넬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로 승진했다.[39] 1994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8]

2015년 12월 13일, 체류 중이던 인도네시아 동자와 주 바투의 호텔에서 수면 중 심부전으로 사망했다.[41]

2. 1. 배경

베네딕트 앤더슨은 1936년 8월 26일 중국 쿤밍에서 아일랜드계 아버지 제임스 케어 오고먼 앤더슨과 영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2][3] 그의 아버지는 중국 해관 공무원이었다.[1][2] 앤더슨 가문은 스코틀랜드 보쓰리프니 아드브레이크의 앤더슨 가문 출신으로 1700년대 초 아일랜드에 정착했다.[4][5][6] 앤더슨의 외할아버지 트레버 비검은 1914년부터 1931년까지 런던경찰청의 차장을 역임했다. 그의 할머니 프랜시스 레이디 오고먼은 게일계 맥 고르마인 씨족으로 클레어주 출신이며, 아일랜드 자치 운동에 참여한 국회의원이었던 퍼셀 오고먼 소령의 딸이었다.[8][9][10] 퍼셀 오고먼 소령은 1798년 반란 당시 공화주의 협회에 연루되었던 니콜라스 퍼셀 오고먼의 아들이었으며, 1820년대에는 가톨릭 협회의 서기가 되었다.[11][12][13] 베네딕트 앤더슨은 퍼셀 오고먼 소령의 사촌이자 1848년 청년 아일랜드 봉기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던 리처드 오고먼의 이름을 따서 중간 이름을 지었다.[14][15]

2. 2. 유년기와 교육

앤더슨의 가족은 1941년 중일전쟁 당시 일본군의 침략을 피해 캘리포니아로 이주했고, 1945년에는 아일랜드로 이주했다.[2][3] 그는 이튼 칼리지에서 뉴캐슬 장학금을 수상했고,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에 진학했다.[16] 케임브리지 재학 시절, 그는 수에즈 사태 당시 반제국주의자가 되었는데, 이는 이후 그의 마르크스주의 사관을 가진 마르크스주의자이자 반식민주의자 사상가로서의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3]

2. 3. 코넬 대학교와 인도네시아 연구

베네딕트 앤더슨은 1957년 케임브리지에서 고전학 학위를 받은 후 코넬대학교에 진학하여 인도네시아를 연구 주제로 삼았으며, 그의 코넬대학교 지도 교수는 동남아시아 학자인 조지 카힌이었다.[1] 1967년 코넬 대학교에서 정부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3]

1965년 9월 30일 쿠데타 시도 이후 발생한 폭력으로 수하르토가 인도네시아의 권력을 장악하게 되자, 앤더슨은 환멸을 느꼈다.[3] 앤더슨은 코넬대학교 대학원생 시절, 룻 맥베이(Ruth T. McVey)와 함께 익명으로 "코넬 논문"을 공동 집필하여 9월 30일 운동과 1965년-1966년 반공주의 숙청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부의 공식 발표를 반박했다.[2][3] 1971년 인도네시아 공산당 서기장 수디스만(Sudisman)의 공개 재판에서 증인으로 참여했다.[3] 그의 행동으로 인해 앤더슨은 1972년 인도네시아에서 추방당하고 재입국이 금지되었으며, 이 제한은 1998년 수하르토가 사임하고 B. J. 하비비가 대통령으로 취임할 때까지 지속되었다.[2][3]

2. 4. 태국 연구와 《상상의 공동체》

인도네시아 입국 금지 이후, 베네딕트 앤더슨은 연구 분야를 태국으로 옮겨 태국의 언어, 문화, 정치를 연구했다.[2][3] 그는 인도네시아어, 자바어, 태국어, 타갈로그어 등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에 능통했다.[2][3] 베트남 전쟁과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 등 공산 국가들 간의 전쟁을 겪으면서, 앤더슨은 언어와 권력의 관계에 대한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민족주의의 기원을 연구하기 시작했다.[2]

1983년, 앤더슨은 ''상상의 공동체''를 출간하여 민족주의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2] 이 책에서 그는 지난 3세기 동안 세계에서 민족주의가 출현하게 된 주요 요인들을 설명했다.[2] 그는 국가를 "본질적으로 한정적이고 주권적인 것으로 상상되는 상상의 정치 공동체"로 정의했다.[17] ''상상의 공동체''는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2. 5. 후기 생애

베네딕트 앤더슨은 1994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98년 수하르토 정권이 붕괴된 후 인도네시아를 방문하여 인도네시아 야당의 역사적 기억상실증을 비판했다. 2002년 코넬 대학교에서 은퇴하고 국제학과 명예교수가 되었다. 은퇴 후에는 동남아시아 전역을 여행했다. 2015년 12월 13일, 인도네시아 바투에서 수면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3. 주요 개념

베네딕트 앤더슨은 저서 『상상의 공동체』에서 출판 자본주의, 순례, 공정한 민족주의, 모듈화와 같은 개념을 활용하여 어떻게 민족주의 또는 국민(nation)이 형성되는지를 밝히고, 민족주의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36] 『상상의 공동체』는 일본어, 프랑스어, 타이완어, 스페인어, 중국어, 터키어 등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36]

=== 상상된 공동체 ===

베네딕트 앤더슨은 1983년 출간한 저서 『상상된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성찰』(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을 통해 민족주의가 국가 창출로 이어지는 '상상된 공동체'를 어떻게 만들어냈는지 논했다.[2] 여기서 "상상된 공동체"는 국가 공동체가 가짜라는 의미가 아니라, 구성원들이 서로 알 수 없을 만큼 규모가 큰 공동체는 어느 정도 상상의 산물일 수밖에 없다는 앤더슨의 견해를 의미한다.[2]

앤더슨에 따르면, 이전의 자유주의 사상가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민족주의의 힘을 간과했다. 그는 민족주의가 거장 사상가를 배출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홉스, 토크빌, 마르크스, 베버와 같은 인물이 없음을 언급했다.[2] 앤더슨은 민족주의의 세 가지 역설을 제시한다. 첫째, 민족주의는 현대적 산물이지만, 사람들은 오래된 것으로 여긴다. 둘째, 민족주의는 보편적이지만, 각 국가는 구별된다고 여겨진다. 셋째, 민족주의는 영향력 있는 사상이지만, 정의하기 어렵다.[2]

앤더슨은 민족주의가 특정 언어의 우월성, 신권 통치, 세계 기원과 인류 기원의 동일성에 대한 믿음이 쇠퇴하면서 나타났다고 보았다.[2] 이러한 믿음의 거부는 과학혁명, 활판 인쇄술 발명에 의한 의사소통 발전, 계몽주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서유럽에서 시작되었고, 인쇄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2]

앤더슨은 국가 의식이 18세기 말 서반구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브라질, 미국, 그리고 새로 독립한 스페인 식민지들이 국가 의식을 발전시킨 최초의 국가들이었다.[2] 그는 어니스트 겔너나 엘리 케두리와 달리, 유럽의 국가가 서반구에서 일어난 민족주의의 부상에 대한 반응으로 보고, 이것이 식민화를 통해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전파되었다고 본다.[2][21] 앤더슨은 국가 건설을 모방 가능하고 이전 가능한 행위로 간주하며, 1778년에서 1838년 사이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 등장한 대규모 정치 단체들이 국가의 모델을 제공했다고 보았다.[2] 앤더슨에 따르면, 이 현상은 국경으로 제한되고 주권을 가진 공동체인 국가의 부상으로 이어졌으며, 민족주의는 서로 다른 "물결"로 나타났다.[2][22]

=== 인쇄 자본주의 ===

마셜 맥루한은 그의 저서 『구텐베르크 은하계(The Gutenberg Galaxy)』에서 인쇄된 문학의 역할과 보급을 강조했으며, 앤더슨의 민족주의 이론에서도 이는 특히 중요하다.[21] 앤더슨은 "자본주의의 혁명적인 구어화 추진력"이 상상된 공동체 창출에 중심적이었다고 보았다. 인쇄물의 대량 기계적 복제는 극심한 언어적 차이로 인해 동일 공동체 소속이라고 상상하기 어려웠던 사람들을 하나로 묶었다.[2] 인쇄술의 등장과 함께 언어는 안정되고, 특정 방언은 권위 있는 "권력의 언어"가 되었다.[2] 인쇄 자본주의는 문해 문화의 일원으로 사회화되어야 하는 문화를 만들었고, 국가 표준어는 인쇄물과 대중 교육의 언어가 되었다.[22]

민족주의 학자 스티븐 켐퍼(Steven Kemper)는 앤더슨 이론에서 인쇄 기술의 역할을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간접적으로 서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켐퍼는 앤더슨에게 "신문의 존재와 규칙성은 독자들이 공통의 시간과 장소에 거주하고, 익명의 동등한 사람들과 인쇄 언어로 하나가 된다고 상상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21] 앤더슨에게 인쇄 기술의 발달은 "깊은 수평적 동지애"를 만들어내는 데 필수적이었으며, 이는 민족주의가 사람들이 자신의 국가를 위해 싸우고 죽고 죽이도록 만드는 이유를 설명한다.[2]

=== 다민족 제국과 민족주의 ===

앤더슨은 19세기 유럽 왕조들이 광대한 다언어 지역에 대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의도적인 국가와 왕조 제국의 합병" 과정에서 공식적인 민족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동시에 자연화되는 과정을 연구했다.[23] 앤더슨은 제국을 근대 이전의 "왕조 영역"으로만 간주하고, 다민족 제국(예: 러시아 공식 국민성)의 공식적인 민족주의에 주목했는데, 그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반동적이고 이차적인 모델링"이라고 묘사했다.[24]

이전에는 유럽 왕조의 정당성이 국민성과 아무런 관련이 없었지만, 앤더슨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오스만, 러시아 제국의 해체 이후, 국민 국가가 국제 관계에서 제국을 대체하는 표준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후 국제 연맹에서 제국 열강의 대표들이 제국 대표가 아닌 국가 대표로 자신을 신중하게 제시한 방식에서 증명된다.[25][26]

3. 1. 상상된 공동체

베네딕트 앤더슨은 1983년 출간한 저서 『상상된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성찰』(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을 통해 민족주의가 국가 창출로 이어지는 '상상된 공동체'를 어떻게 만들어냈는지 논했다.[2] 여기서 "상상된 공동체"는 국가 공동체가 가짜라는 의미가 아니라, 구성원들이 서로 알 수 없을 만큼 규모가 큰 공동체는 어느 정도 상상의 산물일 수밖에 없다는 앤더슨의 견해를 의미한다.[2]

앤더슨에 따르면, 이전의 자유주의 사상가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민족주의의 힘을 간과했다. 그는 민족주의가 거장 사상가를 배출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홉스, 토크빌, 마르크스, 베버와 같은 인물이 없음을 언급했다.[2] 앤더슨은 민족주의의 세 가지 역설을 제시한다. 첫째, 민족주의는 현대적 산물이지만, 사람들은 오래된 것으로 여긴다. 둘째, 민족주의는 보편적이지만, 각 국가는 구별된다고 여겨진다. 셋째, 민족주의는 영향력 있는 사상이지만, 정의하기 어렵다.[2]

앤더슨은 민족주의가 특정 언어의 우월성, 신권 통치, 세계 기원과 인류 기원의 동일성에 대한 믿음이 쇠퇴하면서 나타났다고 보았다.[2] 이러한 믿음의 거부는 과학혁명, 활판 인쇄술 발명에 의한 의사소통 발전, 계몽주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서유럽에서 시작되었고, 인쇄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2]

앤더슨은 국가 의식이 18세기 말 서반구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브라질, 미국, 그리고 새로 독립한 스페인 식민지들이 국가 의식을 발전시킨 최초의 국가들이었다.[2] 그는 어니스트 겔너나 엘리 케두리와 달리, 유럽의 국가가 서반구에서 일어난 민족주의의 부상에 대한 반응으로 보고, 이것이 식민화를 통해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전파되었다고 본다.[2][21] 앤더슨은 국가 건설을 모방 가능하고 이전 가능한 행위로 간주하며, 1778년에서 1838년 사이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 등장한 대규모 정치 단체들이 국가의 모델을 제공했다고 보았다.[2] 앤더슨에 따르면, 이 현상은 국경으로 제한되고 주권을 가진 공동체인 국가의 부상으로 이어졌으며, 민족주의는 서로 다른 "물결"로 나타났다.[2][22]

『상상의 공동체』에서 앤더슨은 출판 자본주의, 순례, 공정한 민족주의, 모듈화와 같은 개념을 활용하여 민족주의 또는 국민(nation)이 형성되는 과정을 밝히고, 민족주의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36] 이 책은 일본어, 프랑스어, 타이완어, 스페인어, 중국어, 터키어 등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3. 2. 인쇄 자본주의

마셜 맥루한(Marshall McLuhan)은 그의 저서 『구텐베르크 은하계(The Gutenberg Galaxy)』에서 인쇄된 문학의 역할과 보급을 강조했으며, 앤더슨의 민족주의 이론에서도 이는 특히 중요하다.[21] 앤더슨은 "자본주의의 혁명적인 구어화 추진력"이 상상된 공동체 창출에 중심적이었다고 보았다. 인쇄물의 대량 기계적 복제는 극심한 언어적 차이로 인해 동일 공동체 소속이라고 상상하기 어려웠던 사람들을 하나로 묶었다.[2] 인쇄술의 등장과 함께 언어는 안정되고, 특정 방언은 권위 있는 "권력의 언어"가 되었다.[2] 인쇄 자본주의는 문해 문화의 일원으로 사회화되어야 하는 문화를 만들었고, 국가 표준어는 인쇄물과 대중 교육의 언어가 되었다.[22]

민족주의 학자 스티븐 켐퍼(Steven Kemper)는 앤더슨 이론에서 인쇄 기술의 역할을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간접적으로 서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켐퍼는 앤더슨에게 "신문의 존재와 규칙성은 독자들이 공통의 시간과 장소에 거주하고, 익명의 동등한 사람들과 인쇄 언어로 하나가 된다고 상상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21] 앤더슨에게 인쇄 기술의 발달은 "깊은 수평적 동지애"를 만들어내는 데 필수적이었으며, 이는 민족주의가 사람들이 자신의 국가를 위해 싸우고 죽고 죽이도록 만드는 이유를 설명한다.[2]

저서 『상상의 공동체』에서는 출판 자본주의, 순례, 공정한 민족주의 등의 개념을 활용하여 민족주의 또는 국민(nation)이 형성되는지를 밝히고, 민족주의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36]

3. 3. 다민족 제국과 민족주의

앤더슨은 19세기 유럽 왕조들이 광대한 다언어 지역에 대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의도적인 국가와 왕조 제국의 합병" 과정에서 공식적인 민족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동시에 자연화되는 과정을 연구했다.[23] 앤더슨은 제국을 근대 이전의 "왕조 영역"으로만 간주하고, 다민족 제국(예: 러시아 공식 국민성)의 공식적인 민족주의에 주목했는데, 그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반동적이고 이차적인 모델링"이라고 묘사했다.[24]

이전에는 유럽 왕조의 정당성이 국민성과 아무런 관련이 없었지만, 앤더슨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오스만, 러시아 제국의 해체 이후, 국민 국가가 국제 관계에서 제국을 대체하는 표준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후 국제 연맹에서 제국 열강의 대표들이 제국 대표가 아닌 국가 대표로 자신을 신중하게 제시한 방식에서 증명된다.[25][26]

4. 학문적 영향과 평가

《상상의 공동체》는 민족주의 또는 국민(nation)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출판 자본주의, 순례, 공정한 민족주의, 모듈화와 같은 개념을 활용하여 설명하고, 민족주의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6] 이 책은 일본어, 프랑스어, 타이완어, 스페인어, 중국어, 터키어 등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36] 앤더슨의 이론은 민족주의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고, 인쇄 자본주의 개념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에서도 앤더슨의 저작은 활발하게 번역, 연구되고 있으며, 그의 이론은 한국 사회의 민족주의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

5. 수상

베네딕트 앤더슨은 1982년 정치학 연구 부문에서 구겐하임 펠로십을 수상했다.[31] 1998년 아시아 연구 협회(미국)의 학술 공로상을 수상했으며,[30][38] 2000년에는 제11회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학술 연구상을 받았다.[32][36] 또한, 미국철학회 회원이었다.[33] 2011년에는 사회과학연구위원회에서 알버트 오. 히르슈만 상을 수여했다.[34] 2012년에는 헤이조 천도 1300년 기념 아시아 코스모폴리탄상 경제·사회과학상을 수상했다.[35]

6. 저서

베네딕트 앤더슨은 다양한 저서를 통해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27] 그의 대표적인 저서는 다음과 같다.


  • ''Java in a Time of Revolution'' (1972)
  •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1983)
  • ''Language and Power: Exploring Political Cultures in Indonesia'' (1990)
  • 《비교의 유령: 민족주의, 동남아시아, 그리고 세계》(1998)
  • 《세 개의 깃발 아래: 아나키즘과 반식민지주의적 상상력》(2005)[28]
  • 《야자수 껍질 그릇 밖으로》(2009)
  • 《경계를 넘어선 삶: 회고록》(2016)


앤더슨의 저서 및 관련 서적은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400개 이상의 간행물로 출판되었으며, 전 세계 7,500개 이상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7]

7. 가족

베네딕트 앤더슨의 남동생은 페리 앤더슨으로, 역사학자이다. 페리 앤더슨은 서구권에서 마르크스주의 연구자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ndonesianist Benedict Anderson dies at 79 http://www.thejakart[...] Jakarta Post 2015-12-16
[2] 뉴스 Benedict Anderson, Scholar Who Saw Nations as 'Imagined,' Dies at 79 https://www.nytimes.[...] 2015-12-15
[3] 간행물 Benedict Anderson, Man Without a Country https://newrepublic.[...] 2015-12-13
[4] 논문 Perry Anderson · Memoir: A Belated Encounter: My father's career in the Chinese Customs Service · LRB 30 July 1998 http://www.lrb.co.uk[...] 1998-07-30
[5] 웹사이트 Journal of the Old Waterford Society 1994 http://snap.waterfor[...]
[6] 서적 A genealogical and heraldic history of the landed gentry of Ireland https://archive.org/[...]
[7] 서적 A life beyond the boundaries Verso 2016
[8]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Topography of the County of Clare by James Frost: Chapter 9 – Pedigree of MacGorman (O'Gorman) http://www.clarelibr[...]
[9]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Topography of the County of Clare by James Frost: Chapter 9 – Ui Bracain. Family of MacGorman; Inundation of the sea in the year 804, certain lands submerged; Curious Will http://www.clarelibr[...]
[10] 웹사이트 John O'Hart, Irish Pedigree's, or, The Origin and Stem of the Irish Nation https://archive.org/[...] Dublin, J. Duffy and Co.; New York, Benziger Brothers
[11]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Topography of the County of Clare by James Frost: Chapter 9 – Pedigree of MacGorman (O'Gorman) http://www.clarelibr[...] 2015-12-17
[12] 웹사이트 The United Irishmen, their lives and times. With several additional memoirs, and authentic documents, heretofore unpublished; the whole matter newly arranged and revised. 2d series https://archive.org/[...] 2015-12-17
[13] 웹사이트 Ireland Mid-West Online – County Clare – History – United Irishmen http://www.irelandmi[...] 2015-12-17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researchrepos[...]
[1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limerickc[...]
[16] 서적 The Historical Construction of Southeast Asian Studies: Kore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3-06-17
[17] 서적 Imagined Communities
[18]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9] 뉴스 Indonesianis Asal Amerika, Ben Anderson, Meninggal di Batu http://nasional.temp[...] 2015-12-13
[20] 뉴스 Asian scholar Benedict Anderson dies in his sleep in Indonesia http://www.interaksy[...] 2015-12-13
[21] 웹사이트 Five Approaches to Nationalism http://www.postcolon[...] 2000-12-14
[22] 서적 Dependent Communities: Aid and Politics in Cambodia and East Timor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2009-01-01
[23] 서적 Feminist Locations: Global and Local,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01-01-01
[24] 서적 Nationalizing Empire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5-06-30
[25] 서적 A History of Nationalism in Modern Japan: Placing the People https://books.google[...] BRILL 2006-12-28
[26] 서적 Japan and the Great War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5-10-06
[27] 웹사이트 WorldCat Identities http://www.oclc.org/[...]
[28] 뉴스 Benedict Anderson, Scholar Who Saw Nations as 'Imagined,' Dies at 79 https://www.nytimes.[...] 2015-12-14
[29] 웹사이트 Why Counting Counts: A Study of Forms of Consciousness and Problems of Language in Noli me Tangere and El Filibusterismo http://www.ateneo.ed[...]
[30] 웹사이트 1998 Award for Distinguished Contributions to Asian Studies http://www.aasianst.[...]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AAS) 2011-06-06
[31] 웹사이트 BENEDICT R. O'G. ANDERSON http://www.gf.org/fe[...] 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
[32] 웹사이트 Benedict ANDERSON [ Academic Prize 2000 ] http://fukuoka-prize[...] Fukuoka Prize 2000-12-13
[3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34] 웹사이트 Benedict Anderson wins prize for academic excellence http://www.ssrc.org/[...]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35]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the Winners of the 1st ASIA COSMOPOLITAN AWARDS http://www.eria.or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 ASEAN and East Asia 2012-11-16
[36] 웹사이트 ベネディクト・アンダーソン https://fukuoka-priz[...] 2022-04-23
[37] 웹사이트 早稲田のアンダーソン https://yab.yomiuri.[...] 読売新聞社 2022-04-23
[38] 웹사이트 ベネディクト・アンダーソン プロフィール https://fukuoka-priz[...] 福岡アジア文化賞委員会 2022-04-00
[39] 웹사이트 ベネディクト・アンダーソン:義塾を訪れた外国人|義塾を訪れた外国人|三田評論ONLINE https://www.mita-hyo[...] 2022-04-23
[40] 웹사이트 Benedict Anderson, who wrote ‘Imagined Communities,' dies https://as.cornell.e[...] 코넬대학교 2015-12-15
[41] 뉴스 B・アンダーソン氏死去 ナショナリズム研究の第一人者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5-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